아이피타임 포트포워딩 DMZ 설정 방법 DMZ 와 포트 의 의미

반응형

 

인터넷 공급 업체에 금액을 지불 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 들 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1개 회선을 사용하게 되고 그 회선 을 공유기 또는 허브를 이용하여서 다수의 장비들에 나누어 활용 할것 입니다.

 

이런때 일상적인 인터넷 사용등에서는 전혀 문제 가 있거나 부족함도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서버 Program 프로그램 이나 CCTV , WOL, FTP 등 밖에서 외출시에 아니면 외부업무 중에 이런 장비 들 로 접속을 해야할 상황 이 생길 수 가 있을 것입니다.

[ TOC ]

 

     

     

    • 목차를 확인 후 클릭 하시면 원하는 부분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 모바일 사용자 가독성 향상을 위해 이미지 의 확대 편집을 최대한 활용 하였습니다.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이 큰힘이 됩니다.

     

    1. 포트포워딩을 적용 하는 절차

    ① 공유기 접속

    ② 포트포워딩 할 내부 IP 를 확인

    ③ 포트 포워딩 작업 진행

    설명은 위의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진행이 되겠습니다..

    쉬운 내용이니 가볍게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1.1. 공유기 접속하는 절차 알아보기

    일단 포트포워딩 이라는 것 을 하려하면 공유기(Router) 에 접속을 해주셔야 하십니다.

    공유기에 접속 하는 방법은 아래 글에 디테일하게 나누어서 정리 되어 있으. 참고가 될만한 내용 해주시길 바랍니다.

     

    • IP주소 와 도메인 DDNS 란 무엇인지 더해서 공유기 접속 방법

     

    IP주소 와 도메인 DDNS 란 무엇인지 그리고 공유기 접속 방법 - insideBOX

    IP 주소 , 도메인 이런 것들을 많이 들어보았지만 확 와닿지 않습니다. 기타 공유기에 접속 하는 방법들도 같이 정리 하였으니 가볍게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내용을 제기준에서

    comeinsidebox.com

     

    • 인터넷 주소창에 아이피 타임 의 공유기 아이피 인 (192.168.0.1)로 접속을 진행 해주셔야 합니다. ..

    • 로그인이 완료 되었을 시 위 이미지 와 동일한 웹 페이지가 나타 나게 되겠습니다

    • 아이피 타임 기준으로 해서 최초에 접속 할때 사용하는 관리자 아이디 와 비밀번호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ㅤ• 로그인 _아이디  :  admin

    ㅤ• 로그인 _패스워드  :  admin

     

    🌞 참고- 접속 후 비밀번호 를 변경해서 사용을 권장 합니다.

    1.2. 포트 포워딩 (개방) 할 장치의 내부 ip 주소 확인하기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 후에는 다음 순서로 포트포워딩을 해야하는 장비 의 ip (아이피)를 확인 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찾은 아이피로 포워딩 해주면 되는 부분 입니다.

     

    ip 를 이미 알고 있습니다~  라면 !!
    다음 챕터로 바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 로그인이 완료 되면 위 사진과 동일 한 화면 을 체크 하실수 있습니다..

    • 설정 마법 사와 관리도구 중 관리도구 탭을 선택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참고- 공유기의 종류와 버젼 단계에 따라 위 menu 와 다른 버튼 또는 아이콘 이 더해져 있을 수 있는 부분 참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 좌(左)측의 ‘고급 설정’ 항목으로 이동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네트워크 관리’ 사항에서 ' DHCP 서버 설정 ' 항목으로 진입 해주셔야 합니다.

    • 밑 하단에서 ‘사용 중인 IP 주소 정보’ 를 모두 체크 확인 할수 있습니다.

    • 자신이 이용 하는 장치의 내부 IP를 여기 이곳에서 찾아 주시면 되겠습니다.

    ㅤ• 아이피 타임 의 공유기 기준으로 사용되는 내부 아이피 의 주소 대역은 192.168.0.1 ~ 192.168.0.255 까지 할당이 되어지게 됩니다.

    ㅤ• 기기의 명칭등도 보여지기도 하고 PC 의경우 이름 등으로 검색이 되니 크게 어렵지 않게 찾을수 있을 것입니다.

    ㅤ• 기기가 많다면 Ping 테스트 등으로 진행을 해주시면 편리합니다.

    1.3. 아이피 타임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 절차

    아이피를 확인 했다면 이제 포트포워딩을 진행 하면 되겠습니다.

    포트 포워드 설정 하는 해당 menu 메뉴 이동 부터 안내드리도록 해보겠습니다.

    • 좌(左)측의 menu 메뉴 에서 'NAT/라우터 관리' 항목을 선택하셨습니다.

    • ' 포트포워드 설정 ' ( ➊ ) 항목으로 진입 해주시길 바랍니다.

    • 포트 포워드 설정 창이 보이고 밑 하단에 포트포워드 정보를 입력해 넣을수 있는 란이 보이게 됩니다.

    • 항목 사항에 필요한 정보( ➋ ) 를 아래의 내용. 참고가 될만한 내용 하셔서 입력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ㅤ① 규칙 이름 입력란 : 임의로 식별이 편하게 입력 해주시면 되겠습니다00..

    ㅤ② 내부 IP 주소 입력란 : 포트를 개방할 기기의 내부 IP를 입력 해주시면 되겠습니다00..

    ㅤ③ 프로토콜 입력란 : TCP 가 기본값이며 이 대로 유지 하셨습니다.

    ㅤ④ 외부 포트입력란 : 외부 포트는 특별한 요구 조건이 없다면 임의로 사용할 포트를 선정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ㅤ⑤ 내부 포트 : 내부 포트는 특별한 요구 조건이 없다면 임의로 사용할 포트를 선정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입력이 완료 되셨다면 ' 적용 ' ( ➌ ) 을 눌러 주시면 모두 적용이 된 것입니다.

    • 몇가지 개념만 조금 알고 있다면 상당히 쉽습니다.

    1.3.1. 포트 란 것은 무언가요 ?

    개념의 이해를 조금이나마 도울수 있게 포트 란 무언인지 간단하게 정리 해 보려 합니다.

     

    포트라는 것은 ? 

    포트는 여러 네트워크 활동(업로드, 다운로드 등) 을 할때 사용하는 일종의 관문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어떤 프로그램은 특정 포트를 이용도록 지정되어 있는데, 그 특정 포트를 폐쇄 하거나 오픈 함 으로써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활동을 상황에 따라 차단/허가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PC 컴퓨터의 Lan선은 하나인데 통신을 필요로 하는 Program 프로그램또는 기기가 여러가지 일때 각각을 나누어분리 하게 해주는 번호 표 와 유사한 것이라고도 생각 할수 있을 것입니다.

     

    인터넷 주소 연결시에 사용되어지는 HTTP 전송 포트는 80 / 8080 포트 입니다.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로 연결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80번 포트로 연결이 되면 IP주소만으로 포트 를 추가로 붙이지 않고 편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8080 포트 또는 그 외의 모든 포트는 IP 뒤에 본인이 사용할 포트를 같이 표시를 해 주어야 정상적인 범위로 연결이 되겠습니다.

     

    예시) 192.168.0.100:8080 ( 아이피 : 포트 )

    1.4. DMZ 란 무엇이며 그리고 이를 설정 하는 방법

    • DMZ의 개념

    • DMZ 를 설정 하는 방법

    위 순서로 안내를 해 보겠 습니다.

    1.4.1. DMZ 란 무엇인가요 ?

    • Demilitarized Zone 를 줄여서 DMZ 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 위에서 소개드린 바와 같이 포트 포워딩 설정 값이 1개의 장치(PC)에 1개 포트를 매핑하는 구조 라고 했습니다.

    • 하지만 DMZ 설정은 외부에서 접근하는 어떤 포트라도 1개의 특정 사설/내부IP로 통과 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 다시말해 불특정 포트 에 대해서 전부 개방을 해두는 설정인 것입니다.

     

    😈 주의- 기본적으로 초보자 분들이 이 포트포워딩 작업이 어렵거나 번거로워 DMZ 로 한번에 설정을 하는 상황이 빈번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해당 연결된 기기의 보안이 상당히 취약하니 잘 알아보고 적용 하셔야 합니다.

    1.4.2. 아이피 타임 공유기에서 DMZ 설정 하는 방법

    아래는 아이피 타임 공유기 에서 DMZ 설정 하는 방법을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NAT/라우터 관리' 항목으로 이동하셨습니다.

    • 하위 menu 메뉴에 고급 NAT 설정 menu 메뉴를 체크 확인 할수 있을 것입니다. 진입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우측(右側)에 DMZ/Twin-IP menu 메뉴( ➋ ) 를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 이 menu 메뉴에서 DMZ 라는 부분으로 지정을 합니다.

    • DMZ menu 메뉴를 설정 하면 아래 '내부 IP 주소'라는 항목이 사용가능 하도록 활성화 됩니다

    • 이곳에서 모든 포트를 개방할 내부 IP 값을 를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 '적용' ( ➌ ) 을 탭 해 주면 완료처리 되겠습니다..

    2. 마치면서

    이렇게 아이피 타임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는 방법을 알아 보게 되었습니다.

    다른 공유기들도 비스무리 하게 동일한 menu 메뉴 명칭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들이 다른 경우라도 살짝만 검색 (檢索) 작업 을 해본다면 menu 메뉴 위치등을 체크 확인 할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3. 참고가 될만한 내용

    [Tip & Review] - 윈도우10 네트워크 오류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어댑터 드라이브 등 문제 해결 절차

     

    윈도우10 네트워크 오류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어댑터 드라이브 등 문제 해결 절차

    인터넷을 사용중에 갑자기 인터넷 설정이 불안정 하거나 끊기는등 오류가 생길수 있습니다. 누구나 겪을수 있는 문제일것입니다. 그 때 손쉽게 조치 할수 있는 방법이 모뎀 또는 공유기를 Reset

    alluze.tistory.com

    반응형
    본 글의 저작권은 alluze.tistory.com에 있습니다. alluze.tistory.com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전재, 게시, 배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