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TY 는 리눅스 또는 유닉스 계열의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이 PuTTY 프로그램 자체적으로도 매우 가볍고 무료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SS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할 때 많이 사용 되며 필자 또한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트 내용에서 PuTTY 를 설치 하는 방법 과 기본 적인 설정 과 관련 된 부분을 정리 했었습 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 내용에서는 PuTTY 를 사용해 리눅스 서버에 접속 하는 기본적인 과정에 대해서 짧게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은 21년 12월 24 일에 작성 되었습 니다. )
이 포스트의 내용은 충분한 테스트 와 검증을 한 뒤 진행 했지만 이 것이 이 내용에 대한 보증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순하게 참고용으로 활용 바랍니다.
※ 사용된 프로그램 및 환경 : 윈도우 11, PuTTY 0.76v
PuTTY 접속 정보 입력
- 1 먼저 PuTTY 를 실행 하게 되면 Session 탭이 활성화 된 상태로 실행이 됩니다.
- 2 그 리고 하위 옵션 중 Specify the destination you want to connect to ( 1 ) 항목 에서 아래 값을 지정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 Host Name: 인스턴스 도메인 주소 정보 또는 IP 값을 이곳에 입력 해주면 되겠습니다.
- Port: 각자의 서버 설정에 맞추어 입력 해주면 되겠습니다. 수정 하지 않았다면 기본 포트를 사용 하면 되겠죠.
- Connection type: 각자의 서버 설정에 맞추어 선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3 Load, save or delete a srored session ( 2 ) 항목 에서는 위에서 입력한 정보를 저장 해 재사용 가능 합니다.
- 서버 주소 뿐만 아니라 putty 환경 설정 내용 까지 모두 저장 되니 설정을 모두 마친 후 최종 적으로 저장 해두면 다음 접속 시 손쉽게 로드할 수 있습니다.
- 4 실제로 이런 방식으로 입력이 되며 Save 버튼을 눌러 저장 까지 진행 했습니다.
ppk 개인키 파일 등록 및 접속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해 로그인 하고 난 다음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 방식입니다. 그렇지만 관리자가 여러 명인 경우 라면 암호를 공유하는 것이 보안상 상당히 취약해질 염려가 있죠.
그리고 위 내용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특정 서버 들은 SSH 키를 필수적으로 요구 하는 경우가 많이 있 습니다.
이 경우 puttygen.exe 로 생성 해 두었던 .ppk 파일을 등록 하고 나면 서버에 접속 가능 합니다.
ppk 개인키 파일 등록
- 1 먼저 Connection > SSH > Auth ( 1 ) 의 경로로 이동 해 주면 되겠습니다.
- 2 그 다음 아래 필드에 키 파일 위치를 직접 작성 하거나 Browse ( 2 ) 단추를 이용해 찾아서 지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 3 Browse 단추를 클릭시 탐색창이 열리니 저장 해둔 경로로 이동 해 .ppk 파일을 찾아 열기(O) 버튼으로 등록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4 해당 경로가 입력 란에 등록이 되고 나면 Open 단추를 통해 서버에 접속 가능 합니다.
참고: 위 정보까지 모두 저장 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시 Session 위치로 이동 하고 난 후 Save 버튼으로 저장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서버 접속
위 그림과 같이 정상적으로 서버에 접속 되었습 니다. 이곳에 자신의 계정 정보와 추가적으로 설정한 비밀번호가 있다면 입력을 하고 난 후 사용 하면 되겠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오늘 블로그 글에서는 PuTTY 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 하는 방법에 대해서 짧게 정리해 보았는데요.
리눅스 서버를 사용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 되는 클라이언트 이기 때문에 사이트 운영 등 다양한 이유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 이 필요한 경우 설치 해서 사용 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여기까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