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구버전 에서는 파일탐색기에서 검색을 할때 단어입력 만으로도 검색이 자동적으로 되었습니다.
윈도우10 에서는 검색어 입력 하고 난 후 검색 단추를 클릭 해야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색을 하는 단계가 추가 되어서 검색을 자주 활용 하는 분들은 불편함을 느낄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내용으로 인해서 오늘 글에서는 Windows 10에서 파일 탐색기를 이전 형태로 단순하게 입력만 해도 검색되도록 수정을 하는 방식에 대해서 체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용된 프로 그램 및 환경 : Windows 10.
1. Windows 10 '파일 탐색기' 검색 방식 변경
Windows 10에서 파일 탐색기 이전 형태로 입력 만 해주어도 검색이 되도록 수정을 하는 것은 레지스트리 편집기 를 실행 한 후 값을 변경 진행 하면 되겠습니다.
적용 하는 순서를 안내 드려 보도록 하겠 습니다.
1.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레지스트리 값을 수정 하기 위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해 주면 되겠습니다.
- 1 먼저 아래 안내 드리는 순서를 통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해 주겠습니다.
- 1 '실행창' (단축키 : Win + R ) 을 활성화 해줍니다. 실행 창 과 관련된 정보는 실행창 사용 방법에서 확인 할 수 있습 니다.
- 2 열기(O): 입력란 에 regedit 이라고 입력 합니다.
- 3 아래 쪽 확인버튼 을 탭 하거나 Enter 키를 눌러 주도록 합니다.
- 2 그 다음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보이는 경우 수정 승인과 관련된 안내를 체 크 한 한 후 아래 쪽 예 단추를 클릭 해줍니다.
▌참고: 레지스트리 의 수정 과 편집은 운영체제의 수정을 가 하는 것으로 실수로 잘못 된 진행을 할 경우 시스템의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 할 수 있습 니다. 관련 된 사항 들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초보 사용자의 진행을 권장 하지 않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 하다 생각 하면 하단의 내용을 확인 해주시길 바랍 니다.
1.2. ConsentPromptBehaviorAdmin 값 수정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System 키로 이동 한 이후 ConsentPromptBehaviorAdmin 값을 변경 진행 해주면 되겠습니다.
- 1 우선 레지스트리 편집기 에서 하 단 경로를 주소 입력창 ( 1 ) 에 입력 해 주겠습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
- 2 그 러면 System 키 ( 2 ) 로 이동이 됩니다.
- 3 이 동 후 오른 쪽 값 중 ConsentPromptBehaviorAdmin ( 3 ) 을 찾아 더블 클릭 합니다.
- 4 DWORD(32비트) 값 편집 창이 실행이 되면 값 데이터(V) 를 0 으로 변경 한 다음 아래 쪽 확인 단추를 탭 합니다.
1.3. EnableLUA 값 수정
위와 같은 방식 으로 System 키에서 EnableLUA 값을 변경 진행 해주면 되겠습니다.
- 1 우선 EnableLUA 를 찾아 더블 클릭 합니다.
- 2 그 다음 DWORD(32비트) 값 편집 창이 실행 되면 위와 동일 하게 값 데이터(V) 를 0 으로 수정 한 다음 아래 쪽 확인 단추를 탭 합니다.
- 3 위 설정 값을 모두 수정 했다면 적용을 마무리 하기 위해 PC를 1회 재부팅 해 주겠습니다.
2. 마치면서
이와 같이 Windows 10에서 파일 탐색기를 이전 형태로, 검색어 입력만 해도 검색 되도록 수정을 하는 방식에 관해 체크 해 보았습니다.
파일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 검색으로 활용 하는 사용자 분들은 위에 설명 한 내용 들을 수정 하여 이전 형태로 이용 해 보시길 바랍 니다.
감사 합니다. 오늘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3. 참고가 될만한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