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포인트'를 이용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실행 하면 기본적으로 이렇게 제목 과 내용 입력을 위한 객체가가 이미 생성 되어진것을 볼수 있 습니다.
제 기준으로 볼때 주위에서는 위와 같은 기본 입력 객체를 통해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저의 경우도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이 부분을 전혀 사용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작 하면 이 부분을 매번 지우게 되는데 이 과정 또한 번거롭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서식 파일 템플릿을 생성해서 새로 생성한 템플릿으로 시작 되도록 하면 아무것도 없는 시작화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 내용에서는 '템플릿 기능을 이용해 파워포인트' 새 슬라이드 생성 시 제목 입력 없이 빈 슬라이드로 생성 하는 방법 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은 22년 1월 25일에 작성 되었습 니다. )
이 포스트의 내용은 충분한 테스트 와 검증을 한 뒤 진행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것이 이 내용에 대한 보증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순하게 참고용으로 활용 바랍니다.
※ 사용된 프로그램 및 환경 : 윈도우 11, 마이크로소프트 365 '파워포인트' (버전: 2112)
빈 슬라이드 생성
'파워포인트' 시작 또는 슬라이드 추가 시 사용 될(기존의 형태가 아닌 원하는 형태) 빈 화면 레이아웃을 하나 만들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 1 먼저 상단 리본 메뉴 중 '슬라이드' 그룹의 레이아웃 ( 1 ) 항목 을 클릭 해 템플릿을 열어 주도록 합니다.
- 2 그 다음 템플릿에서 빈 화면 ( 2 ) 을 선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3 빈 슬라이드가 생성 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슬라이드 저장
이와 같이 생성 한, 빈 화면 슬라이드를 이제 다시 서식 형식으로 저장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 1 먼저 편집 화면 왼쪽 상단 '파일' 리본 항목 을 클릭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 2 그 다음 시작 메뉴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을 선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3 저장 할 때 저장 될 이름은 자신이 편한 방식으로 지정 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파일 형식은 Power Point 서식파일(*.potx) 로 지정해서 변경 해주셔야 합니다. 설명에서는 Blank.potm 이라는 파일로 저장을 진행 했 습니다.
서식 파일 Template 경로 이동
위에서 안내드린 과정으로 생성 한 서식 파일을 이제 다시 오피스 Template 경로로 이동 해주셔야 합니다.
- 1 먼저 생성 해둔 .potm 파일을 아래 올려둔 경로 위치로 이동을 해 줍니다. 경로에서 '사용자' 는 각자 환경에 맞게 수정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필요한 경우 윈도우에서 사용자 이름을 확인 하는 방법을 확인하세요.
C:\Users\사용자\AppData\Roaming\Microsoft\Templates
결과 확인
'파워포인트'를 실행 하고 나면 Default Theme 가 새로 추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가 있 습니다.
- Default Theme A 를 선택 하고 나면 빈 페이지로 시작이 됩니다.
- 기존 새 프레젠테이션 B 을 수동으로 클릭 하고 나면 기존 처럼 제목 입력 필드가 포함 된 슬라이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스크린 샷과 같이 빈 슬라이드가 바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위 Default Theme 를 이용하지 않고 리본 메뉴에서 새 슬라이드 를 선택 하더라도 빈 페이지로 슬라이드 가 추가 됩니다.
마무리
이렇게 오늘 블로그 글에서는 '파워포인트' 시작 시 '제목을 추가하려면 클릭하십시오.' 메시지 없이 빈 슬라이드로 생성 하는 방법 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요.
빈슬라이드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서식 으로 지정 하고 난 후 저장 하고 나면 동일하게 사용을 가능 합니다.
필자와 같이 매번 제목 입력 란을 지우는 것이 귀찮다고 느껴 진 분들은 위에서 정리한 내용을 적용해서 빈 슬라이드로 깨끗하게 시작 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여기까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