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전력 무시하면 돈이 줄줄 조금만 신경 쓰면 됩니다.

반응형

 

집안에서 절약정신이 투철한 누군가가 있다면 항상 잔소리 듣게 되는것중 하나 그것은 콘센트 입니다.

사용 안하면 빼두어라

그럼 반대편에서는 그거 얼마나 한다고 …

뭐 이런식입니다.

 

이 대기 전력 실제로 절약이 되기는 하는건지

된다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한번 체크 해보려 합니다.

 

[ TOC ]

 

     

     

    목차를 확인 후 클릭 하시면 원하는 부분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사용자 가독성 향상을 위해 이미지 의 확대 편집을 최대한 활용 하였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이 큰힘이 됩니다.

     

    1. 적지 않은 대기전력 소모

    대기전력은 TV, 컴퓨터 등 각종 전자제품의 동작과 관계없이 대기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합니다.

    플러그가 꽂힌 전자기기에 이 전기가 미세하게 흘러 제품이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전자기기의 전원을 꺼두었다고 하더라도 전기세는 계속해서 발생 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전 발표에 따르면 대기전력으로 인해 연간 가정 전력사용량의 11%가 버려지고 있다는 내용을 본적이 있습니다.

     

    고로 대기전력 사용량을 관리하면 11퍼센트 정도의 전기비를 감소 시킬수 있는 것입니다.

    월 전기요금 전령 사용량 11%절감시 전력량 11%절감시 월 전기요금 월 전기요금 절감액
    50,140원 328 kWh 292 kWh 38,430원 11,710원
    60,030원 363 kWh 323 kWh 48,720원 11,310원
    69,920원 398 kWh 354 kWh 57,490원 12,430원
    80,130원 415 kWh 369 kWh 61,720원 18,410원
    90,130원 439 kWh 391 kWh 67,940원 22,190원
    100,130원 463 kWh 412 kWh 78,880원 21,250원

    전국 105개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한 가구당 연간 209kWh의 대기전력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대자연이라는 NGO에 따르면 연간 306kWh의 대기전력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국가 전체로 이를 따져보면 연간 4,000~5,000억 원이 낭비되어 지고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한 가정의 월 전력사용량과 전기요금이 각각 6만30원( 363 kWh)이라고 가정했을 때 대기전력을 11% 절감하면 월 11,310원의 전기비를 절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1년으로 환산면 10만원이 넘는 요금을 줄일수 있는 것을 쉽게 알수 있습니다. (표 참조)

    2. 대기전력을 줄일수 있는 방법

    대기전력을 단순히 전기콘센트를 뽑는 방법으로 지속해야한다면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 될수 있습니다.

    번거롭다면 하지 않게 될 확률이 높아지는것이니 간편하게 대기전력을 줄일수 있는 방법을 정리 해봅니다.

    2.1. 자동 차단 멀티탭 과 콘센트

    차단 멀티탭과 콘센트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상품들은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편리하게 에너지 절감을 하도록 도와 줍니다.

    간편하게 신경안쓰고 대기전력 관리가 되어 지는 방법입니다.

    2.2. 스마트멀티탭과 스마트플러그

    위의 자동 차단이 단순한 기계적인 반복에 따른 대안이라고 한다면

    이 스마트 멀티탭 , 플러그는 조금더 지능형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 러한 IoT 제품들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전원의 켜짐 꺼짐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고, 전원을 앱을 통해(인터넷) 제어하거나 타이머를 별도로 설정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2.3. 가장 번거롭지만 가장 완벽한

    위 도구들이 없다면 그냥 (전자제품들의) 플러그를 뽑아두면 그것이 아쌀(?)한 방법 이기는 합니다.

    위의 방법들이 귀찮고 복잡하다하면 이 방법을 고려 해봐야 할것입니다.

    2.4. 전자제품 별 대기전력 체크

    전자제품 자체의 대기전력 사용 여부도 위의 콘센트 관리만큼 중요합니다.

    위의 아이콘 익숙 하실듯 한데 이 전원 버튼으로 대기전력 여부를 확인 할수 있습니다.

    좌측이 동그라미에 구멍이 있는데 이것이 대기전력이 있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꽉 막혀 있는 온전한 동그라미가 대기전력이 없는 것이니 구별이 쉽습니다.

     

    대기전력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거나 있더라도 대기전력 저감이 우수한 제품들을 선택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것 입니다.

    2.4.1. 대기전력 소모량이 많은 가전기기 TOP10

    순위 기기 소모량
    1위 셋톱박스 12.3W
    2위 인터넷모뎀 6.0W
    3위 스탠드 에어컨 5.0W
    4위 보일러 5.0W
    5위 오디오 스피커 5.0W
    6위 홈시어터 4.8W
    7위 비디오 4.8W
    8위 오디오 4.0W
    9위 유무선 공유기 3.5W
    10위 DVD 플레이어 3.2W

    (자료 출처 : 한국전기연구원)

    1위 셋톱 박스 IPTV(인터넷 티비) 가 압도적입니다. 이것만 관리해도 많은 전기를 줄일수 있을 듯 합니다.

    집에서 일반적으로 플러그를 꼽아두고 있는 위성방송용 셋톱박스와 PC와 주변기기들만 합해 보면 평균 대기전력 소비량이 31.3W나 됩니다.

     

    한 달로 치면 22.5kWh(2700원)에 이르게 됩니다.

     

    에너지관리공단과 한국전기연구원은 “전자와 전기 제품의 사용에 따라 가구당 연간 306kWh(3만6700원)의 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4.2. 대기전력 소모량이 적은 가전기기 TOP10

    순위 기기 소모량
    1위 인터넷 전화기 0.17W
    2위 선풍기 0.20W
    3위 카메라 충전기 0.20W
    4위 휴대폰 충전기 0.23W
    5위 구강세척기 0.30W
    6위 전기 로스터 0.38W
    7위 음식물 처리기 0.42W
    8위 전자 피아노 0.44W
    9위 전자 면도기 0.56W
    10위 전기 매트기 0.58W

    (자료 출처 : 한국전기연구원)

     

    예상과 다른 의의로 적은 기기들도 눈에 띄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3. 마무리

    IT기기가 늘면서 대기 전력 급증 했다고 합니다.

    스마트 홈 등의 구현되고 더욱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하니 이렇게 하나씩 체크 하지 않는다면 상당한 금액이 아무도 모르게 사라지게 될것입니다.

     

    그외 참고할만한 전기 상식 몇가지를 안내드립니다.

    TV볼륨을 20%만 키워도 한 달에 0.8kWh의 전력을 더 소비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건 대부분 아실텐데 이제 날이 더워지니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날텐데 에어컨 켤 때 무조건 강풍으로 켜주는 것이 효율면에서 좋습니다.

    기화가 된다면 이 에어컨 관련 내용도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 참고

    [분류 전체보기] - 원격 중 최고 팀뷰어 사용하는 방법 상세 정리 합니다.

     

    원격 중 최고 팀뷰어 사용하는 방법 상세 정리 합니다.

    예전부터 원격 에 관심이 많아 여러 가지 팀뷰어를 사용해보았습니다. 팀뷰어는 예전에 자비로 100만원이 넘는 라이센스를 구매하여 사용도 했었습니다. 현재는 구독형으로 변경되어 이상하게

    alluze.tistory.com

    wol 원격으로 컴퓨터 켜기 공유기 wake on lan 기능 사용하기

     

    wol 원격으로 컴퓨터 켜기 공유기 wake on LAN 사용하기 - insideBOX

    외부에서 사무실 또는 내방의 컴퓨터에 접속 할때 우리는 원격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 외부에서 킬수 없기에 계속 켜두고 외출을 하는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

    comeinsidebox.com

     

     

    반응형
    본 글의 저작권은 alluze.tistory.com에 있습니다. alluze.tistory.com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전재, 게시, 배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