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 복붙 클립보드 기록 재 사용하기 와 기록 보관 위치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할 때 특정 텍스트, 캡쳐 이미지 등과 같은 파일을 복사 하고 나면 직후에 붙여넣기 해서 재 사용가능 합니다.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는 복사해서 클립보드에 저장 되면 직후에 한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윈도우10 이후 이 기록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 되었습 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 내용에서는 윈도우 11 에서 클립보드 저장 위치 및 저장 기록 확인 및 재 사용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은 22년 3월 에 작성 되었습 니다. )


이 포스트의 내용은 충분한 테스트 와 검증을 한 뒤 진행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것이 이 내용에 대한 보증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순하게 참고용으로 활용 바랍니다.

안내 하는 내용은 윈도우 11 뿐 아니라 윈도우 10 에서도 거의 비슷 하게 동작 되는 것을 확인 했 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포스트 작성 일 기준 ( 글 발행일 이 아님 ) 이며 언제나 자체적인 정책 으로 변경이 될 수 있 습니다.

※ 사용된 프로그램 및 환경 : 윈도우 11 (빌드: 22000.556)

Contents

    클립보드 사용 방법

    오늘 설명에 앞서 윈도우에서 클립보드에 저장 또는 불러오기 시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 바로가기 명령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복사 해서 클립보드 저장하기: Ctrl + C , Ctrl + Ins
    • 잘라내기 해서 클립보드 저장하기: Ctrl + X , Shift + Del
    • 클립보드에 저장 된 자료 붙여넣기하기: Ctrl + V , Shift + Ins
      • 윈도우 10 레드스톤5(1809 버전) 이후 Win + V 조합을 사용 하고 나면 클립보드에 저장 된 값 중에서 선택적으로 붙여넣기 가능 합니다. 관련 내용은 클립보드 저장 기록 재 사용하기 단계에서 추가로 안내드리도록 하겠 습니다.

    클립보드 저장 위치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알아두거나 체크 해야 하는 내용 확인을 하고난 후 데이터가 저장 되는 경로를 확인 해 줍니다.

    선행 사항

    숨김 파일 해제

    클립보드 폴더는 숨겨진 상태입니다. 그래서 확인을 합니다. 그리고 싶다면 파일 탐색기의 숨김 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 해주셔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윈도우10 과 11에서 파일 확장자, 체크 박스 및 숨긴 파일 옵션 수정 방법 을 확인하세요.

    클립 보드 고정

    클립보드에 저장 된 내용은 HDD 와 SSD와 같은 드라이브가 아닌 램 에 저장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내용은 컴퓨터를 종료 하고 다시 시작하게 되면 사라지는 일종의 휘발성 데이터입니다.

    그래서 클립보드에 저장 된 자료는 디스크 드라이브 경로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클립보드에서 고정(Pin) 기능으로 저장 해둔 경우에 한해서는 저장 기록을 확인가능 합니다.

    저장 위치

    클립보드 저장 데이터

    • 1 먼저 파일 탐색기 ( 단축키: Win + E ) 를 실행 한 뒤 아래 경로로 이동 해 주면 되겠습니다. 상단 경로 필드 A 에 경로를 붙여넣기 ( Ctrl + V ) 하고 나면 빠르게 이동 가능 합니다. 사용자 이름은 본인의 환경에 맞게 수정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이름을 확인 하는 방법을 확인하세요.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Microsoft\Windows\Clipboard\Pinned
    • 2 그 다음 Pinned 폴더에서 현재 고정 되어있는 클립보드 데이터를 확인 가능 합니다.

    클립보드 저장 기록 재 사용하기

    클립보드에 저장 된 기록을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여러가지 항목을 클립보드에 저장 해두고 추후 재 사용 가능 합니다.

    클립보드 기록 기능 활성화

    클립보드의 기록 기능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 때문에 활성화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클립보드 설정

    • 1 먼저 Windows 설정 ( 단축키 : Win + i ) 을 열고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시스템 ( 1 ) 탭을 선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2 그 다음 '시스템' 항목 에서 클립보드 ( 2 ) 메뉴로 이동 해 주면 되겠습니다.

     

    클립보드 검색 기록 활성화

    • 3 '클립보드' 설정 화면 상단 클립보드 검색 기록 의 토글 스위치를 왼쪽 으로 이동 해 상태로 전환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클립보드 패널 활성화 상태

    • 4 '클립보드 검색 기록' 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자체 키보드 단축 명령인 Win + V 키를 입력하면 스크린 샷과 같이 클립보드 팝업이 바탕 화면 오른쪽 하단 에 생성됩니다.
      • 이곳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원하는 클립보드를 찾아 선택하면 복사가 됩니다. 그 후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 ( Ctrl + V ) 가능 합니다.

    클립보드 기록 사용 방법

    클립보드 기록 기능을 활성화 후 자주 사용 되는 기능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립보드 기록 고정하기

    자주 사용하는 클립보드 기록을 고정 해두고 활용가능 합니다.

    클립보드 고정하기

    클립보드 패널에서 자주 사용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경우 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고정됩니다. 고정 되면 와 같이 변경 됩니다.

    클립보드 기록 삭제하기

    저장된 클립 보드 기록이 불필요한 경우 직접 삭제 가능 합니다.

    클립보드 개별 삭제

    클립보드 기록만 삭제 하고자 하는 경우 클립보드 패널에서 을 클릭 하고 나면 숨겨진 을 확인 가능 합니다.

    그리고 이 부분을 통해 개별적으로 삭제 또한 가능 하다고 보면 됩니다.

     

    클립보드 데이터 지우기를 통해 일괄 삭제 가능

    전체 클립보드 기록을 삭제하고 싶은 경우 설정 앱의 클립보드 설정에서 클립보드 데이터 지우기 탭의 삭제 단추를 클릭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클립보드 기록 기기간 동기화하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 계정으로 연동 된 PC 에서 클립보드 기록을 공유가능 합니다.

    클립보드 설정의 장치간 동기화 기능 활성화

    클립보드 설정의 장치 간 동기화 탭의 토글 스위치를 왼쪽 으로 이동 해 상태로 전환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복사한 텍스트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기화 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니 상황에 맞는 항목을 선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FAQ

    내 클립보드 기록이 보이지 않아요

    클립보드 기록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 때문에 기능을 활성화 해주셔야 합니다. 본문의 클립보드 기록 기능 활성화 단계를 참고하세요.

    내 클립보드 항목이 내 클립보드 기록에서 사라지네요.

    클립보드 기록은 25개의 복사 된 자료만 임시로 저장이 됩니다. 만약 새로운 클립보드가 저장 되면 이전 항목이 자동으로 제거되는 형태로 적용 됩니다. 하지만 고정한 클립보드는 위 제한 사항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내 클립보드 기록에 자료를 복사할 수 없어요.

    클립보드에 임시로 저장 되는 자료의 크기는 항목 당 4MB로 제한 됩니다. 저장 가능 형식은 텍스트, HTML 일부 이미지 파일을 지원 해주고 있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오늘 블로그 글에서는 윈도우 11 에서 클립보드에 저장 된 기록 과 저장 위치를 확인 하는 법과 클립보드 기록을 재 사용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요.

    블로그에 글을 자주 작성 하는 상황이다 보니 클립보드는 없으면 안 될 아주 중요한 도구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단어 또는 타이핑이 번거로운 내용들을 클립보드 기록에 저장 해두면 아주 유용하게 활용가능 합니다.

    만약 클립보드의 저장 기록이 보관 되는 위치 와 클립 보드 기록이 다시 활용하는 방법이 궁금 하다면 위 내용을 참고해 확인 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참고

     
    반응형
    본 글의 저작권은 alluze.tistory.com에 있습니다. alluze.tistory.com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전재, 게시, 배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